본문 바로가기
유용한 정보

돈 관리,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?(20~30대를 위한 재테크)

by cesoir 2025. 5. 8.

"월급은 받는데 늘 통장에 돈이 없어요..."
"재테크, 해야 하는 건 알지만 뭐부터 해야 하죠?"
이런 분들 많죠?

 

20~30대의 재테크는
‘수익률’보다 ‘기초 체력’ 다지는 시기! 지금부터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.


STEP 1. 자산 현황 파악하기

수입/지출 정리

  • 고정비: 월세, 교통비, 통신비 등
  • 변동비: 식비, 쇼핑, 구독 등

"내가 한 달에 얼마 쓰는지 몰랐다면, 아직 재테크 시작 전!"

순자산 계산

  • 총 자산(통장 잔고+적금+펀드 등)
  • 총 부채(학자금, 마이너스통장 등)
    자산 - 부채 = 진짜 내 돈

추천 앱: 뱅크샐러드, 토스, 하나원큐 자산관리


STEP 2. 비상금 만들기

비상금 목표

  • 최소 3개월 치 생활비 (권장: 500만 원 내외)
  • 단기예금, CMA, 파킹통장 등 유동성 높은 계좌 활용
  • 쿠팡은행, 토스뱅크, 케이뱅크 등 파킹이자 3~4% 활용

이 단계가 끝나야 투자 시작 가능!


STEP 3. 소득 대비 저축 비율 설정

  • 소득의 50% 지출 / 30% 저축 / 20% 투자
    → 현실적으로 20%만 저축+투자라도 OK!
  • 자동이체로 강제 저축 구조 만들기!

STEP 4. 기초 투자 시작하기

투자 순서 추천

  1. 연금저축 or IRP
    • 연말정산 세액공제 받기 (최대 115.5만 원 환급 가능)
  2. ISA 계좌 개설
    • ETF 세금 비과세 혜택 + 수수료 낮음
  3. 소액 ETF 투자
    • 코스피·S&P500 지수 추종 ETF부터 시작

투자 종목보다 중요한 건 ‘분산투자’ & ‘장기투자’ 습관!


STEP 5. 보험 정리하기

  • 보장성 보험만 유지 (건강보험, 실비 등)
  • 저축성 보험, 변액보험은 점검 후 유지 여부 판단
    보험 리모델링은 전문가 상담 추천!

STEP 6. 신용관리 시작하기

  • 카드 연체, 마이너스통장 과용은 신용점수에 영향
  • 신용점수 조회 & 관리 앱 활용
    KCB 올크레딧, 나이스지키미 등 무료 조회 가능

STEP 7. 소득 늘리기 & 부수입 만들기

  • 직무교육, 자격증으로 본업 스펙업
  • 블로그, 유튜브, 중고거래, 포인트앱 등 부수입 루트 탐색
  • 퇴근 후 1~2시간, 부수입용 시간 확보가 핵심!

로드맵 요약 정리

단계내용
STEP 1 자산/지출 현황 파악
STEP 2 비상금 마련 (3~6개월 생활비)
STEP 3 수입 대비 저축 구조 설계
STEP 4 세제혜택 계좌 → ETF 투자 시작
STEP 5 보험 점검 및 리모델링
STEP 6 신용점수 관리 시작
STEP 7 소득 증대 & 부수입 루트 확보
 

마무리 한 줄

 “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하자”는 말,
기초부터 쌓지 않으면 절대 불가능해요.
작은 습관부터 차곡차곡 시작해보세요!